행복한 시간 보내고 계신가요? 종부세 개인별 한번 알아볼까요?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그 전에 요즘 종부세 개인별 검색어로 집값 안정을 위해 투기수요를 억제할 대책 두 가지 관련된 내용이 많은 관심이 된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특별한 일 없으신지요.
지난주에 인터넷에서 물건 샀는데 잘못와서 반품 요청을 했는데 며칠이 지나도 접수가 안되더라구요. 물건도 안가져가고요. 전화도 안받고 괜히 불안해서 요즘 신경이 엄청 쓰여요. 오늘은 종부세 개인별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종부세 개인별 한번 알아볼까요?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종합부동산세(綜合不動産稅, 간단히 종부세)는 대한민국에서 국세청이 일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토지 및 주택의 소유자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 또는 그 제도를 말한다고 합니다. 종부세는 종합부동산세법에 따라 부과되며, 고액의 부동산 보유자에 대하여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하여 부동산 보유에 대한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제고하고 부동산의 가격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지방재정의 균형발전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1] 종부세의 과세기준일은 6월 1일이라고 합니다.
종부세 개인별 관련 정보를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은 최신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제목: "종부세 6% 내는 개인 납세자는 20명뿐구간 세분화해야"
내용: 16일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개인별 종부세 과세 표준 규모별 결정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으로 종부세 최고 세율 6%를 적용받는 개인 납세자는 과세 표준 94억원(시가 123억5000만원 수준)...
날짜: 2020-07-16 01:39
링크: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00716_0001097251&cID=10401&pID=10400
제목: "종부세 6% 최고세율 적용받는 대상자 20명 불과"
내용: 열린민주당 김진애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개인별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 규모별 결정현황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개인 주택 종부세 대상자 중 최고세율을 적용받는 과표 94억원(시가 123억5000만원 수준) 초과...
날짜: 2020-07-14 23:56
링크: http://www.ajunews.com/view/20200715085026615
관심있는 내용이 있으면 직접 검색해 보시는 것도 괜찮을 듯 합니다. 그러면 이 내용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종합부동산세는 12월 1일부터 16일까지가 납부 기간입니다. 금액이 큰 경우에는 분납이 가능합니다. 250만 원이 초과하는 경우에는 납부할 세액의 일부를 납부기한 경과 후 6개월 이내에 납부한다면 분납이 가능합니다. 세액이 500만 원 초과되는 경우에는 납부할 세액을 100분의 50 이하의 금액을 분납이 가능합니다. 만약 천 만원을 내야하는 경우, 500만원의 금액을 분납 가능합니다. 이번 중과세율로 인해서 고가 주택을 가지고 있는 분들의 경우에는 매년 많은 세금을 지불해야 되는 상황으로 변화가 생겼습니다.
종부세 개인별 관련하여 우선 가장 파격적인 변화는 최대 6%까지의 증가율입니다. 기존 0.6%~3.2%였던 종부세가 1.2%~6%로 증가했습니다. 물론 건물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닌데요. 적용 대상은 딱 정해져 있으며 개정된 비율은 소유한 집의 수와 조정대상지역에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본인이 고가의 집을 3채 이상 가지고 있고, 모든 건물이 강남과 같은 조정대상지역에 있다면 가장 큰 세율을 적용받게 되겠죠. 그 계산 법은 아래에 기재해두겠습니다.
부동산 관련된 법이 계속해서 바뀌게 되면서 종부세에 대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정확하게 지금은 얼마를 내고 있는지 또한 얼마나 늘어날지에 대해서 궁금하실 텐데요. 변경되는 내용을 확인하신다면 어렵지 않게 계산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우선 세율이 바뀌게 되었는데요. 2020년 세법개정안을 살펴보면 그 내용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세율을 확인하셔서 부동산 가격에 곱하기로 계산하시면 되는데요. 내용을 살짝 살펴보자면 3억 원 이하의 경우 기존에 0.5%였지만 0.6%로 상승되었습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이 되기 때문에 먼저 개인 명의로 된 주택의 공시가격을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 공제액을 계산하고 6억원 초과되는 부분을 과세로 보기 때문에 6억원을 차액으로 빼줍니다. 하지만 1세대 1주택의 경우에는 1가구를 단독 명의로 들고 있는 경우 9억원을 차액으로 빼주시면 됩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한 값을 보면 되는데요, 2020년 기준으로 비율이 90%라고 하니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종부세 개인별 외에도 위와 같은 요건을 갖추신 분들은 한 번 찾아보시는 게 어떨까 싶네요. 저도 종부세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여러 가지 정보를 검색해보고 찾아보면서 이것저것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고 이런 좋은 정보들을 공유해드리고 싶어 이렇게 글을 써봤습니다. 과세를 내야하는 납부 기간은 매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라고 하니 꼭 기억해주세요. 또 한 번에 내야 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기 때문에 나눠서 낼 수 있는 분할납부도 가능하다고 하니까 해당 대상인지 확인해보시면 더 꼼꼼히 내 재산도 지키고 주거지도 지켜낼 수 있습니다.
이제 종부세 개인별 포스팅을 끝맺도록 하겠습니다. 즐거운 시간 되세요.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근로소득 알아보세요 (0) | 2020.10.18 |
---|---|
홈택스 연말정산 경정청구 관한 정보입니다 (0) | 2020.10.16 |
양도소득세 합산과세 확인해 봅시다 (0) | 2020.10.16 |
재산세납부증명서 바뀐 내용 (0) | 2020.10.15 |
토지 재산세 세율 아주 나이쓰 (0) | 202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