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드립니다,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누가? 한번 나누고자 합니다. 우선 최근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검색어로 "양도세·종부세 강화, 청약제도 소득요건 완화내년에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관련 문건이 상당한 이슈가 된다고 합니다. 이 포스팅 내용을 보는 님들께서는 특별한 일 없으신지요.

일년의 마지막달이 되면 늘 기분이 좋으면서도 살짝 싱숭생숭한 기분이 드는게 한살을 더 먹고 조금 더 성숙해지기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20살때는 기분이 좋았는데 다들 일년이 지나갈 때에 어떤 생각을 하시나요? 오늘은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누가?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연관 문건을 검색해 보니 아래처럼 새로운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제목: 규제로 주춤하던 법인 매물 슬금슬금 다시 늘어"개인들이 다 사들여"
내용: 2주택 이하 법인의 종부세율은 3%, 3주택 이상 혹은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법인은 6%다. 양도세와 취득세도 높아진다. 현행 다주택 보유 법인에 대한 양도세는 기본 10~25%에 최고 10%를 과세하지만, 내년부터는 20%로 늘어난다....
날짜: 2020-12-22 00:09
링크: http://news.mk.co.kr/newsRead.php?no=1308139&year=2020
제목: 법인 매물, 10월 들어 상승 전환···"세 부담 덜고, 영끌 맞물려"
내용: 보유 주택 금액과 상관없이 주택을 가진 법인은 모두 종부세를 내야 하는 것은 물론, 2주택 이하 법인은 3%, 3주택 이상 혹은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법인은 6%를 종부세로 내야 한다. 양도세와 취득세도 높아진다. 현행...
날짜: 2020-12-22 01:22
링크: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202
궁금한 내용이 그래도 생기면 여유가 생길 때 혼자 천천히 살펴보시는 것도 어쩌면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자, 지금부터 이 내용에 비슷한 좀 더 자세한 사항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세대 집 한채는 9억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고, 1세대 집 두 채부터는 6억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만약 서울에 집 두 채가 합이 6억이 안 된다면 종합부동산세가 없다는 것이죠. 저희는 남양주에 9억원이 안되는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요. 계산기 두드려보니 내는 종부세가 없더라고요. 또한 60세 이상과 5년 거주부터 총 종합부동산세에서 공제가 들어가니 한 집에서 오래 산 어르신들도 이번 정책에 큰 피해가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특히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관련하여 하지만 이제는 임대의무기간이 경과된다면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그 외의 장기임대인 경우에는 의무기간이 8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됩니다. 종부세 세율 인상의 경우에는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2주택인 경우에 전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곳이라면 3주택 이상에서 상향되게 됩니다. 상향된 과세비율은 1.2 - 6% 입니다. 123.5억이 초과된 경우라면 6%가 적용됩니다. 2019년 기준으로는 종부세 대상자는 전체인구의 1%인 51만 1000명이 해당된다고 합니다.
집을 2개 가진 사람을 기준으로 종부세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0억짜리 집을 두 개 가진 사람의 총 주택 공시가격은 20억입니다. 여기서 1인당 공제가격인 6억원을 뺍니다. 20-6= 14억이 되죠? 거기에서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곱합니다. 적용되는 내년의 공정 시장가액은 95%입니다. 이 비율은 매년 오르기 때문에 내후년이면 100%가 되겠네요. 현재 기준인 90%를 곱하면 12억6천만원이 나옵니다. 이 금액에 본인에게 해당하는 세액 비율을 적용하면 되는데요. 조정대상지역 12억 건물이면 1.2%가 되겠네요. 위 세율을 곱하면 종부세는 약 천 사백만 원이 나오게 됩니다.
요즘에는 부동산 시장이 매우 활발한 상황임에 따라 그에 따른 정부에 규제도 함께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6월은 종부세 과세 기준일이자 재산세 기준일이기 때문에 이때, 집을 구매하거나 팔 계획이 있는 분들은 꼭 기억을 해야 합니다. 저 역시 집을 계약함에 있어서 6월에는 피해서 거래를 하곤 합니다. 그 이유로는 6월 1일에는 부동산을 누가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1년 치 세금을 부담하는 사람이 결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추가적으로 부동산 관련된 법이 계속해서 바뀌게 되면서 종부세에 대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정확하게 지금은 얼마를 내고 있는지 또한 얼마나 늘어날지에 대해서 궁금하실 텐데요. 변경되는 내용을 확인하신다면 어렵지 않게 계산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우선 세율이 바뀌게 되었는데요. 2020년 세법개정안을 살펴보면 그 내용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세율을 확인하셔서 부동산 가격에 곱하기로 계산하시면 되는데요. 내용을 살짝 살펴보자면 3억 원 이하의 경우 기존에 0.5%였지만 0.6%로 상승되었습니다.
이상 조정지역 2주택 종부세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행복한 시간 되세요.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세 보유기간 이것을 알아보자 (0) | 2020.12.28 |
---|---|
양도소득세 예정 확정 비교 정리 (0) | 2020.12.28 |
4대보험 자동이체 계좌 변경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0.12.26 |
4대보험 미가입 근로자 불이익 다 이유가 있어요 (0) | 2020.12.26 |
면세점 관세 금액 함부로 생각한다면 곤란해 (0) | 2020.12.23 |